생태계 기반 강화 | - 대전글로벌게임센터 운영
- 게임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본 단계 지원을 통해 기업 역량 강화 지원
- 입주공간 지원, 테스트베드 지원, 인큐베이팅 및 장비 지원, 신규기업 발굴 등
| 5개사 |
- 시뮬레이션 게임(HW, VR 연계 포함) 제작 지원사업
- H/W, VR 기반 게임 제작 지원을 통해 대전 특화분야 게임 개발 및 역량 강화
| 2개사 (최대 2억) |
- 시장성장형 게임(모바일·PC·콘솔 등) 제작 지원사업
- 모바일, PC, 콘솔 게임콘텐츠의 제작 지원을 통해 수익 증대 및 시장 경쟁력 강화
| 2개사 (최대 1억) |
- 게임 스타트랩(全분야) 지원사업
- 예비창업자 및 초기기업(5년 이내) 게임개발 지원을 통한 생태계 기반 마련
| 2개사 (최대 2천만) |
- 수요 맞춤형 인턴쉽 지원사업
- 지역 게임인력난 타개책의 일환으로 게임기업이 직접 강의하고 인력 취업까지 연계
| 6개사 (최대 8백만) |
- 게임기업 홍보 지원사업
- 게임기업의 게임·성과·기업 홍보 및 인플루언서 지원을 통한 매출증대 기여
| 20개사 (전문대행사) |
성장 가능성 제고 | - 대전·충청 인디게임 페스티벌(가칭)
- 대전·충청권 인디게임 행사 추진을 통해 중청권역 인디게임 아이디어 및 인력 확보
- 수상자는 BIC나 전국인디게임 행사에 대전·충청권 대표로 참가
| 10건 이상 (전문대행사) |
- 국내외 전시회 공동참가 지원
- 부산 지스타2023 대전공동관 구성 시 참가기업 지원
| 6개사 (전문대행사) |
- 국내외 전시회 개별참가 지원
- 게임관련 전시회 참가지원을 통한 신규시장 판로개척 및 비즈니스 네트워크 강화
| 10개사 (최대 7백만) |
지속 가능성 추구 | - 글로벌 원스톱 진출 지원사업
- 기업 희망 국가 진출 컨설팅, 마케팅, 현지화 및 현지 출장 지원 등 해외시장 직접진출 제반사항(기업당 1억) 지원
- 게임품질(QA) 테스트 지원을 통해 게임콘텐츠 품질 신뢰성 확보
- 게임 관련 학교 방문을 통한 기업설명회로 인력 확보 지원
| 3개사 (최대 1억) |
- 게임 고도화 제작 지원사업
- 출시 게임 또는 상용화 직전 게임의 업그레이드를 통한 완성도 강화 지원
| 6개사 (최대 1.5억) |
- 비즈니스 네트워크 운영
- 기업 및 타 산업간 정보 및 기술교류를 통한 협엽기회 제공 및 융합 모델 발굴
-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 지원
| 총10회 (상시개최) |